1. 스키마
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이다.
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(Attribute)
-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(Entity)
-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(Relation)에 대한 정의
-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이다.
DB에 저장되는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스키마라 한다.
-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)에 저장된다.
*데이터 사전 : 시스템 전체에서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 중앙 장소로, 이 정보에는 항목을 참조하는데 사용되는 식별자, 항목에 대한 엔티티의 구성요소, 항목이 저장되는 곳, 항목을 참조하는 곳 등을 포함 -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지게 된다.
- 시간에 따라 불변인 특성을 갖는다. (시불변성)
-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한다.
-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.
스키마는 사용자 관점에 따라 외부, 개념, 내부 스키마로 구분된다.
1) 외부 스키마( = 사용자 뷰)
- 개인(사용자)의 입장에서 보는 스키마로, 사용자 뷰를 가리킨다.
- 실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어떤 형식, 구조, 배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것인가.
- 하나의 외부스키마는 여럿이 공유 가능하며 하나의 DB 시스템에 여러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 가능하다.
- 같은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관점을 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
- 일반 사용자는 질의어를 이용 DB를 쉽게 사용
2) 개념 스키마( = 전체적인 뷰)
- 조직 전체의 입장, 전체적인 뷰를 가진다. (DBA 관점)
- 그냥 스키마라고 칭하기도 하며 DB 전체를 기술한것으로 한개밖에 존재할 수 없다.
- 개체간의 관계와 제약조건을 나타내고
3) 내부 스키마( = 물리적인 뷰(저장 스키마))
-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설계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스키마,
- DB의 물리적 구조를 가르킨다.
DBMS는 외부 스키마에 따라 명시된 사용자 요구를 개념적 스키마에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내부 스키마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.
(스키마)
https://ykcb.tistory.com/entry/데이터베이스-스키마의-개념-특징
https://coding-factory.tistory.com/216
'ComputerScience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taBase] 6. 조인(JOIN) (0) | 2021.06.03 |
---|---|
[DataBase] 5. 파티셔닝/ 샤딩 (0) | 2021.06.03 |
[DataBase] 4. 정규화 (0) | 2021.06.03 |
[DataBase] 2. 트랜잭션(Transaction) (0) | 2021.05.31 |
[Database] 1. Index (0) | 2021.05.31 |
댓글